콩슈니의백과사전

테헤란로는 왜 이런이름이 붙었을까!? 본문

지식 한잔

테헤란로는 왜 이런이름이 붙었을까!?

콩슈니 2020. 6. 6. 19:54

 

물론 저는 부산에 거주중이지만 서울의 테헤란로는 익히 알고 있습니다 

종종 놀러갈때도 그렇고 한번쯤 왜 테헤란로일까 라는 의문이 들기도 

하더라구요~ 도대체 왜 테헤란 로일까요!?

 

테헤란 시와의 자매 결연에 따라 지어진 이름입니다!

우리 경제가 고도 성장을 거듭하던 70년 중반에 강ㄴ암의 거리에

테헤란로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당시 우리나라는 1차 석유 파동을 겪으면서 크게 휘청거렸던

시절인데 이로 인해 중동 국가와 긴밀하게 협력 관계를 구축을

나서게 되었습니다

 

서울특별시도 1977년 6월 이란의 테헤란 시와 자매 결연을 했는데

이를 기념하기 위해서 서울을 방문한 테헤란 시장이 양쪽 도시의

도로이름을 교환할것을 건희 했지요

그래서 기존에 삼릉로로 불리던 거리를 테헤란로로 고쳤습니다

 

정확하게 구획상으로는 강남구 역삼동 825의 15번지부터 

잠실동 50번지까지 총연장 4킬로미터 , 폭 50미터의 

도로입니다! 물론 반대로 테헤란 시에도 서울 스트리트가 있습니다

테헤란의 북부 국제 전시장 인근에 있는 바낙 스트리트 북단쪽에서

북쪽 방향으로 닥터참란 고속도로 교차점 까지 총 3킬로미터 구간입니다

현대식 건물이 상당히 많고 도로 주변 경관도 정말 좋다고 합니다

저도 언제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한번 구경해보고 싶네요 :)

 

강남역 1번 출구로 나와 조금만 걸어 나오시면 테헤란로에 관한 

내용이 새겨져 있는 기념비를 보실수 있으니 재미를 위해 

한번 찾아보시는것도 괜찮을거 같아요 :)

 

이러한 이유로 테헤란로로 명명되었다는!

 

 

보너스 지식!

코감기는 왜 한쪽만 걸릴까요!?

 

누구나 살면서 한번쯤은 코감기에 걸려본적이 있을거에요~

저도 감기에 취약한 편이라 겨울이오면 한번쯤은 걸리더라구요

코감기에 걸리면 한번쯤 왜 한쪽만 막힐까 라고 궁금하신적 없으신가요!?

그 이유는 바로 코의 반사 시스템에 의한 방어 작용때문이에요!

우리몸의 좌우의 폐는 각각의 콧구멍에 영향을 많이받아요

그래서 잠시 한쪽 콧구멍으로 산소유입이 되지 않으면 

대응하는 폐가 기능을 제대로 할수 없어요!

그러므로 코막힘은 번갈아가면서 진행되하게 되요

코의 반사 시스템은 심장과 간접적으로는 체내의 세포들에게

자극을 보내요~ 반사작용은 폐의 기능을 높여주고 심장의

효율적인 운동을 촉진 하는 기능을 갖고 있어요

 

사람의 몸은 깨어 있을 때 보다 자고 있을때 그움직임이 줄어드는데

심장박동수는 줄어들고 폐는 소량의 공기로도 기능을 발휘할수있어요

코감기에 걸려서 옆으로 누워 자면 아래에 있는 콧구멍은 호흡하기 

힘들어 지기때문에 호흡하기에 좋지 않은 상태가 되요!

막힌 콧구멍을 뚫기 위해서는 자세를 바꿔서 반대쪽으로 누워야 좋아요

시간이 지나면 다른 한쪽의 코 상태가 나빠지기 때문에 똑같은

동작을 반복하게 되요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