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개배꼽
- 따뜻한바다
- 세계에서가장큰나무
- 덴마크국기
- 오래된국기
- 모니터킬때
- 뜨거운바다
- 달러기호
- 조두
- 최초성씨
- 미백세수
- 온도높은바다
- 동물아이큐
- 강아지탯줄
- 멍멍이배꼽
- 모니터켤때
- 동물지능
- 단골무당
- 러브샷유래
- 케이준음식
- 스팸뜻
- 똑똑한동물
- 스팸메일뜻
- 강아지배꼽
- 최초뮤지컬
- 멍청한동물
- 최초특허
- 북한보물
- 주레드우드국립공원
- 금색선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61)
콩슈니의백과사전

일상생활에서 자주 보는 영화 아무래도 영화는 영화관에서 보는게 제맛인데 요즘은 코로나로 인해서 아쉽긴합니다~ 그렇다면 영화관에서 제일 좋은 자리는 어디일까 과연 그런자리가 존재하는것일까!? 사실 영화관에서 가장좋은자리는 뭐니뭐니해도 음향과 영상을 한번에 느낄수 있는곳이 가장 좋은자리라고 볼수 있습니다 먼저 자막을 읽기 편한자리는 정중앙에서 스크린을 바라볼때 15가량 왼쪽입니다 이렇게되면 우리의 시선에 자막이 오른쪽에 위치해 있기때문에 눈에 잘들어오고 화면도 정중앙에서 보는것과 거의비슷합니다 그리고 스피커에서 나오는 음향은 어느정도 방향성이 있는데 대부분은 정중앙에 맞춰져있습니다~ 위를 종합해서 살펴보면 영화관에서 가장 좋은 자리는 정중앙에서 2칸 떨어진 자리가 제일 좋은자리입니다 :)

뉴스 사건사고에서 자주등장하는 뺑소니! 그렇다면 뺑소니는 어떻게 어디서 유래가 된단어일까!? 사실 뺑소니는 순 우리말입니다~ 뺑은 빼다 내빼다 빼치다에서 뺴를 추출할수 있으며 여기에 ㅇ이 붙은 꼴인데 소니는 손 + 이로 분석할수 있습니다 손은 사람을 나타내는데 손님의 손 어리석은 사람의 산 산아해의 산등과 비교를 할수 있습니다 이는 접미사이므로 달아나는 사람정도가 되는것입니다 뺑이라는 말은 자체가 대개 부정적인 의미로 많이 쓰입니다 뻉소니는 있어야 할곳으로부터 달아난다는 의미가 됩니다 뻉줄은 남의 연줄을 당겨 뺴앗는 행위를 말하는것이고 속어로는 뺑코와 뺑뺑이치다가 있습니다 뺑코는 미국사람이라는 뜻이며 뺑뻉이 치다는 군대등에서 고되게 훈련받거나 일하는것을 의미합니다 심청전에 나오는 뺑덕어멈도 악역이죠 이것..

평소 자주사용하는 더치페이 뜻이야 워낙 많이들 쓰이니까 다들 아실텝니다 그렇다면 더치페이라는 이말 언제 어디서부터 시작된 말일까? 사실 더치페이란 네덜란드인을 놀리고 비꼬는 말에서 시작되었습니다 더치라는 말은 네덜란드인을 뜻하는 단어인데 더치페이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이야기가 있습니다~ 1600년대 영국은 네덜란드와 큰 충돌이 있었는데 영국인들은 네덜란드인들에게 증오심을 표현하기 위해서 이단어를 사용했습니다 예를들어 ALet's go dutch 라는 말이 있는데 각자 지불하자는 뜻이며 네덜란드인의 철저한 개인주의 생활방식을 비꼬아서 표현하는 말입니다! 그리고 더치페이는 일본식 표현이자 콩글리시입니다 이외에도 네덜란드인을 부정적으로 표현하는 dutch courage라는 단어도 있는데 이말은 술김에 부리는 용..

평소에 자주쓰는 단골! 단골가게 단골손님등 우리주변에서는 자주 사용하고있습니다 그렇다면 단골은 어디서 유래가 된말일까!? 사실 단골은 마을의 제를 담당하는 무당을 단골이라고 불렀습니다~ 무당은 단골과 선무당으로 나뉘는데 단골은 가무를 하면서 제를 주관할수 있지만 선무당은 밑에 여러사람을 거느리지도 못하고 집에다 제당만 차려놓고 점을 쳐주는 일을 많이 합니다 선무당이 사람 잡는다라는 속담도 있습니다! 단골은 풍어제나 기우제 등을 맡아 하면서 마을에서 해마다 일정한 보수를 받아 갔습니다 마을을 담당하여 그 마을의 제를 올려주고 일정한 보수를 받던 무당을 일컫는 말이며 산업사회가 되면서 단골 무당은 사라지고 말만 남아 단골손님등으로 단어가 변형된것입니다 지금 우리가 쓰는 단골은 단골 무당을 뜻하는 단어였던 것..

강아지에 배꼽이 있다고 들었는데 아무리 찾아봐도 보이질 않는다 그렇다면 강아지 배꼽은 어디에있을까!? 사실 강아지배꼽이 있긴 하지만 찾기 힘듭니다 인간은 아기가 태어나면 탯줄이 성한 상태에서 자르지만 그것도 배와 아주 가까운곳에서 말입니다 하지만 개의 경우에는 탯줄이 가늘고 짧아서 내버려두면 말라비트얼진 다음에 저절로 떨어집니다 강아지 이외에도 대부분의 가축들이 그렇습니다 송아지의 경우에는 말라붙은 탯줄이 배 밑에 대롱대롱 달린채 돌아다니기도 합니다! 탯줄을 자르는 동물은 인간 외에도 많이있는데 이빨로 탯줄을 끊는 동물들이 있습니다 이동물들도 인간만큼 짧게 자르지않기 때문에 배꼽을 찾기가 힘듭니다 찾기가 힘들지만 찾고싶다면 배의 털을 자세히 살펴보면 사방의 털이 모여 약간 뾰족하게 튀어나온 느낌을 주는 ..

일상생활에서도 흔하게 쓰이는 ok 그렇다면 무슨뜻일까!? 사실 ok어원에 대해서는 다양한 주장들이 있습니다 오케이의 기원은 너무나 다양한데 모두 설명하기는 힘들정도입니다 그중 몇가지는 버렌을 지지하는 미국 민주당의 일파가 1840년에 조작한 오케이 클럽에서 유래되었다는 설도 있습니다 그들은 버렌의 출생지가 뉴욕의 킨더훅인 데에서 그들의 조직을 오케이 킨더훅 약칭으로 오케이 클럽이라고 불렀습니다 그리고 미국의 대통령 잭슨이 공문서를 결재하면서 철자법에 무식한탓으로 all korrect 이것을 약자로 ok라고 썻던것이 발단이 되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부인하는 쪽에서는 잭슨이 재판관으로 있었을때 사무 지연으로 늦게 도착한 서류에 or이라고 쓴것을 ok로 잘못본것에 대해 유래되었다는 이야기도 있습..

케이준 치킨부터 케이준 스타일까지 케이준이란 말이 들어간 음식이 많은데 여기서 케이준은 무엇을 뜻하는것일까!? 사실 음식에 케이준이 붙는 말은 미국의 루이지애나 지방의 요리 스타일을 말하는것입니다! 1620년대에 캐나다의 아카디아에 이주해 와서 살던 프랑스 사람들은 영국인들에 의해 미국 남부의 루이지애나로 강제로 이주되었습니다 프랑스인들이 발전시킨 요리가 케이준입니다 케이준 요리는 그들의 고향인 프랑스랑 새로운 지방 요리법이 합쳐진 형태가 주가 되고 인디언과 스페인의 영향도 받아서 만들어졌습니다 케이준이라는 이름은 아카디아라는 말이 토착 인디언들에 의해 와전되면서 만들어지게 된것입니다 케이준을 만든 프랑스인들은 처음에 쫓겨나다시피 이주한것이라 궁핍하고 가난한 생활을 해왔습니다 구하기 어려운 버터대신 돼지..

요즘 코로나로 인해 우울증을 겪는 분들도 많이들 있을텝니다 우울증은 방치할수록 정말 무서운증상인데 그렇다면 우울증에 좋은 음식들은 무엇이 있을까!? 사실 우울증에 좋은 음식은 대표적으로 초콜렛의 성분이 도움이 많이 됩니다 초콜릿에는 신경을 안정 시켜주는 마그네슘과 기분을 좋게 만들어주는 화학 물질인 엔돌핀이 함유 되어있습니다 그래서 우울한 기분을 완하시켜 주는데 도움을 줍니다 이외 기분에 따라 도움이 되는 음식들이 있는데 화날때는 사과에 있는 비타민과 미네랄을 섭취해주는게 좋습니다 건강을 유지해주기도하고 사과의 유기산은 위액이 분비를 왕성하게 하여 소화를 도와줍니다 그리고 스트레스로 인한 긴장을 완하시켜주고 진정시켜주는데 큰 역할을 합니다! 슬플때는 바나나나 푸딩처럼 부드러운 음식이 많은 도움을 준다고 ..